[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제4판에 대한 소개와 각 장별 학습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제1편건강과 질병
-
제 1 장.건강과 질병의 정의 및 결정요인
-
- 건강상태와 질병상태의 개념
- 건강과 질병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삶의 질의 개념과 보건학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건강과 질병의 결정요인 및 건강모형
- 건강과 질병의 결정요인에 관한 개념과 요인들을 설명할 수 있다.
- 건강과 질병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생물학적, 사회적, 역학적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제 2 장.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개념과 활용
-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개념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을 정의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 온전한 의학의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현대의학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의학교육 과정을 보완한 내용을 설명 할 수 있다.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윤리를 이해하여 연구,개인/집단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관리 등의 관련활동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내용과 적용
- 질병의 자연사와 각 단계에 부합하는 예방적 조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일차, 이차, 삼차 예방을 예시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예방의학과 임상(치료)의학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예방의학 활동이 더 효율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 의사들의 임상 및 연구영역에 있어 예방의학의 활용 방법을 나열할 수 있다.
- 예방의학의 학문 분야를 분류하고 활동 영역을 설명할 수 있다.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윤리를 이해하여 연구, 개인/집단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관리 등의 관련 활동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
제 3 장.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발전과 미래
-
서양과 한국에서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이 대두하고 발전한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서양의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역사
- 한국의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역사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미래
- 선진국에서의 예방의학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한국에서 예방의학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