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명

치료에서 질병예방으로 국민건강증진의 대전환

초록접수/조회

HOME-행사소식-초록접수/조회

2024년 제76차 대한예방의학회 가을학술대회

순서 제목 발표자 비고
1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생애주기 연구 데이터베이스 개발

발표자

장태희
보기
2 의료자원이 불충분한 지역주민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관한 연구: 다수준 분석

발표자

최서영
보기
3 병원 밖 심정지의 대사 위험 요인과 흡연: 다중 센터 사례 대조 연구

발표자

이혜미
보기
4 공중보건 및 사회적 조치와 관련된 유행성각결막염 환자 수 추이 분석 : 후향적 모델링 연구

발표자

이승현
보기
5 불건강음식점 밀도에 따른 식품섭취 및 만성질환에 관한 연구: 2017-202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전국 사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발표자

윤아영
보기
6 COVID-19 팬데믹 시기 청소년의 정신건강 잠재유형과 자살 및 자해와의 연관성

발표자

김은혜
보기
7 T시 소지역에서의 뇌졸중 증상 인지도 향상 사업의 중간평가

발표자

문지영
보기
8 외상성 사건이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박은주
보기
9 미세먼지 노출과 비흡연자 성인의 요중 DNA 부가체 농도 간의 관련성

발표자

지정규
보기
10 한국 의료 환경에서 공유의사결정(SDM)의 영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발표자

이도영
보기
11 한국 보건의료 저탄소 전략 탐색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 현황 분석 : 10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발표자

이한솔
보기
12 물질사용장애와 사망위험연구

발표자

김세영
보기
13 한국의 PM2.5로 인한 기대수명 손실, 2010-2019년

발표자

성지선
보기
14 식생활평가지수를 활용한 가구 식품불안정 상태에 따른 식이 질 평가

발표자

박종은
보기
15 65세 이상 한국인에서 좌식시간 연장은 hs-CRP 증가의 한 위험요인인가?: 국민건강영양조사(2022) 자료 분석

발표자

설로마
보기
16 소아에서 치아우식증 예방적 치료의 건강효과평가 및 위험도 지수 모형 개발 연구

발표자

김은미
보기
17 한국 노인에서 우울증과 신체적 노쇠가 치매 발병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발표자

이정원
보기
18 농촌에 거주하는 후기 중년 및 장년 성인에서의 신체적 노쇠와 구조적 백질 MRI 마커들: CAVAS-C 전향적 코호트를 사용한 기저 연구

발표자

이동윤
보기
19 스타틴 연관 제 2형 당뇨와 스타틴, 다유전자 위험점수의 상호작용

발표자

박종현
보기
20 부산 폐금속광산 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모니터링

발표자

민재희
보기
21 요중 파라벤 복합 노출과 임신부의 간기능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발표자

한혜지
보기
22 폴리스티렌 나노플라스틱 입자의 노출이 혈액-뇌 장벽 및 혈액-뇌척수액 장벽에서의 수송단백질 P-glycoprotein 발현에 영향을 줍니다.

발표자

김영훈
보기
23 뇌질환에서 권역외 의료기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표자

성주현
보기
24 전북 남원시 24개 학교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대응 사례

발표자

조수미
보기
25 TMLE를 이용한 음주가 위암 발생 위험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 평가

발표자

김청호
보기
26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섭취하는 칼슘 및 나트륨이 풍부한 음식: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단면연구

발표자

Kaggwa abraham
보기
27 산전 및 산후 교통 관련 대기오염 노출과 소아암 연관성: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발표자

오종민
보기
28 성인 암 생존자의 미충족 지지 요구와 관련된 요인 분석

발표자

진달래
보기
29 재난을 경험한 생존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발표자

한지원
보기
30 어촌지역 노인대상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발표자

김지연
보기
31 청소년 음주행태의 선행요인으로서 첫 모금 음주경험의 중요성: 청소년건강패널조사

발표자

황준현
보기
32 조현병과 유방암의 인과적 관계: 2-표본 맨델리안 무작위화 연구

발표자

양지수
보기
33 환경성 소음 노출과 뇌신경 퇴화 정도의 연관성 고찰

발표자

이완형
보기
34 영국 바이오뱅크 대상자에서 비만에 대한 신체 활동과 전장유전체 상호작용 연구

발표자

조수영
보기
35 부산광역시 거리노숙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실태 연구

발표자

박미주1), 김재동1), 김병권1)2
보기
36 주관적 기억 장애와 신체 활동 부족이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2년간의 추적 연구

발표자

고우림
보기
37 공공병원 시민참여 리빙랩 연구

발표자

김미희
보기
38 한국의 오존 농도 증가에 따른 건강영향 분석

발표자

이한솔
보기
39 의료기관 이동시간이 당뇨병 관리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정최경희
보기
40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한 담낭 및 담도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추세 분석

발표자

윤정현
보기
41 음주 행동이 중년 여성의 폐경 특이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권리아
보기
42 코로나19백신 접종에 따른 다형홍반 발생 위험

발표자

최정필
보기
43 한국의 정상 갑상선 기능 성인에서 기온과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유리 티록신 수치 간의 연관성

발표자

성지선
보기
44 출생 및 모성요인이 소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

발표자

오종민
보기
45 한국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상의 연관성 탐색: 일과 소득이 미치는 영향 분석

발표자

민혜숙
보기
46 한국 의료 실행 연구 강화: 통합 실행 연구 프레임워크(CFIR) 한국어 번역 및 활용

발표자

김노영
보기
47 COVID-19 감염병 유행 전후 장애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표자

박보희
보기
48 60세 이상 노인에서 당뇨병 진단 여부와 건강생활 실천 여부가 낙상 경험에 미치는 연관성

발표자

윤민선
보기
49 한국 성인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위험 간의 연관성

발표자

손현아
보기
50 미국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2013-2016 자료를 활용한 미국 성인에서의 파라벤(Paraben)계 화합물과 사지 근육량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발표자

오건희
보기
51 폭염의 장기 노출에 따른 신장 결석 위험

발표자

곽영린
보기
52 경기도 환경취약지역 노출 및 건강 모니터링 - 환경취약지역 건강영향 조사

발표자

이효선
보기
53 진료권 구획 최적화 연구 - 지리적 연속성과 유연한 제약조건의 통합한 접근

발표자

김희재
보기
54 임신 중 주변 환경과 출생결과(SGA, LGA)의 연관성

발표자

김혜리
보기
55 항만 및 산단 인근 주거지역 주민의 중금속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대사체 노출 수준

발표자

이가빈
보기
56 GOHAI와 한국 노인 인구의 심뇌혈관 질환 간의 연관성 분석

발표자

임규택
보기
57 염증 관련 식이 및 생활 습관 요인과 만성 신장 질환 발생 및 신장 기능 저하와의 연관성

발표자

조신영
보기
58 환경보건취약지역 주민의 중금속 노출과 신기능 연관성

발표자

노지현
보기
59 한국에서 환경 요인들과 사망과의 연관성에 대한 이중 강건 추정: 사례-교차 연구

발표자

김아영
보기
60 어업인들의 어작업 부담자세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발표자

박기수
보기
61 부산 119구급대 반응시간 지역 불균형: 공간 분석을 중심으로

발표자

권혜지
보기
62 2018~2022년 근로성 소득자의 업종별 손목 및 상완골 골절 발생률 비교

발표자

구민지
보기
63 코로나19 전과 기간 동안 사회적 고립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분석

발표자

이지은
보기
64 한국인 원폭 피해자의 암 발생률: 1988-2021 간접표준화 분석

발표자

이하민
보기
65 한국의 인플루엔자 유사 질환 감시 체계 평가, 2017-2023

발표자

조성희
보기
66 고온, 습도, 신장 관련 사망의 연관성 분석: 다국가 시계열 연구

발표자

민지은
보기
67 환경 중 중금속 노출과 월경 불규칙 및 폐경 간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7

발표자

이주연
보기
68 한국 노인의 노쇠변화가 치매 발병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발표자

이정원
보기
69 입원 시 상병 정보(POA) Y코드 정확도 증진을 위한 분류체계 개발

발표자

정혜란
보기
70 건강한 생활습관과 대사이상지방간 질환과의 연관성

발표자

정나눔
보기
7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주 치료 병원의 네트워크 중심성이 환자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김봄결
보기
72 한국 중년 여성에서 폐경 이행에 따른 수면의 양적 및 질적 특성 변화

발표자

장윤영
보기
73 당뇨병과 자살 생각: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2013–2022)를 중심으로

발표자

이희연
보기
74 난임 부부의 임신 전 정기 예방접종 실태: Pregnancy and Urban Environment (PRUNE) 연구 결과

발표자

김규원
보기
75 딥러닝과 군집분석을 활용한 식이패턴과 대사증후군 발생 간의 연관성 연구

발표자

이효빈
보기
76 환경보건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연관성이 있는 인구학적, 건강 및 환경적 요인: 정보 인식의 역할

발표자

김미지
보기
77 코로나19 시기 광주광역시 취약계층별 건강부담(Burden)

발표자

김보은
보기
78 동반질환이 만성 호흡기 질환 입원 환자의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박준수
보기
79 코로나19 전후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친 요인 분석

발표자

이지혜
보기
80 담도암 사례로 본 국내 시공간모형기반 암 발생 감시체계 구축연구

발표자

박은혜
보기
81 공립요양병원 운영평가의 정책적 함의 -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 운영평가를 중심으로-

발표자

임형지
보기
82 한국인에서 흡연이 암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인구집단기여분율

발표자

성소슬
보기
83 통근 시간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발표자

김태현
보기
84 공복 혈당 수치와 무관한 메트포르민이 육종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전국 암 코호트를 이용한 성향 점수 매칭 분석

발표자

조혜원
보기
85 코로나19 전후 북한의학 학술연구 주제 변화 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접근

발표자

이은해
보기
86 miRNA를 이용한 준비소독성 수준의 비소 노출로 인한 손상을 감지하는 스크리닝 도구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 연구

발표자

이정음
보기
87 식생활 고위험군 발굴을 통한 암예방 정책 제언: 암예방 식생활수칙 인식 및 실천 행태조사를 바탕으로

발표자

정혜인
보기
88 유아기 감염과 한국 청소년의 만성 질환 발달 간의 연관성

발표자

샤흐 수라바
보기
89 폐경한 여성에서 미세먼지 노출과 골다공증의 연관성: 2010-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발표자

김조이스
보기
90 한국 장애인의 암 유병률 및 사망률에 대한 국가적 동향

발표자

전성우
보기
91 정신장애인의 흡연율 추이 및 관련 요인

발표자

이덕영
보기
92 119구급대 적정 반응시간 충족: 8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발표자

권혜지
보기
93 북한 코로나19 방역정책의 정치적 의미 연구

발표자

한준희
보기
94 혈중 타우 단백질 수치와 후성유전학적 연령 가속화 사이의 연관성

발표자

김경현
보기
95 폭염과 임신성 당뇨 질환자의 출산 후 심혈관질환 연관성 연구

발표자

왕소희
보기
96 한미 빅데이터 기반 소아청소년암 발생위험 요인 및 예측모델 연구 소개

발표자

하은희
보기
97 지역사회 기반 뇌졸중 증상 인지도 향상 사업 운영경험과 효과

발표자

이혜진
보기
98 부산광역시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추가 설치를 통한 장애인 구강진료전달체계 개선 연구

발표자

김재동
보기
99 연령에 따른 폭염 위험 분석

발표자

박진아
보기
100 사고를 경험한 인구집단에서의 정신건강 감시를 위한 설문 문항 개발: 가습기살균제 사건을 통한 문제의식

발표자

김진희
보기
101 한국인에서의 식이요인과 위암 간의 연관성: 코호트 연구

발표자

김효경
보기
102 5개 서태평양 국가 및 지역에서 귀국하는 여행객의 뎅기열 사례 데이터를 통한 열대 및 아열대 아시아 국가의 뎅기열 감시 체계 효과성 평가

발표자

김종헌
보기
103 남성의 당뇨병 발병에 대한 설명 가능한 예측 모델 개발: KoGES 데이터 이용

발표자

이혜아
보기
104 자살예방 보도 및 두 편의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와 가스중독 자살 간의 연관성: 시계열 분석

발표자

최민재
보기
105 시흥시 보건소 운동프로그램 건강 효과성 평가

발표자

김재현
보기
106 폐암병기조사를 이용한 조기 비소세포암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발표자

최창균
보기
107 노인의 후성유전적 가속노화와 얼굴표정인식

발표자

이다은
보기
108 대기 미립자 물질 중 중금속에 대한 노출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

발표자

김병권
보기
109 중년에서 노년까지의 체질량 지수 변화 및 궤적: 30년간의 여성 코호트 연구에서 주관적 인지 불만과의 연관성

발표자

성호경
보기
110 감염 관리를 위한 일련의 법적 조치와 병원의 의료 질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김수영
보기
111 산모의 실내 환경이 출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이은주
보기
112 지난 10년의 '경상북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예산 변화분석

발표자

이상봉
보기
113 경상북도 보건의료 패널조사: 1차년도

발표자

윤소연
보기
114 암환자의 서울 대형병원 쏠림 현상의 동태적 기전 이해: 집단모형제작

발표자

이무혁
보기
115 정규화 회귀분석을 활용한 체질량 변화의 연관 요인 탐색: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 분석

발표자

김민형
보기
116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간암 위험 요인 파악 연구 (경상남도 남해군 대상)

발표자

전건민
보기
117 의료기관 회계정보의 경시적 분석을 통한 COVID-19의 영향평가

발표자

박준영
보기
118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서 자살 행동으로의 이행에 있어 정신질환의 매개 효과 - 제주도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반사실적 매개 분석

발표자

오연우
보기
119 기후 관련 재난 이후 정신 건강 취약성과 회복 지연에 기여하는 요인: 한국의 전국 종단 패널 연구

발표자

오은진
보기
120 한국 중진료권 구획 방법론 고찰 및 조정 프레임워크 제안

발표자

김희재
보기
121 은퇴 연령 이후 노동이 한국 노인의 우울 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박영선
보기
122 2020-2021년 동안 베트남에서 PM2.5 및 NO2 농도 감소로 인한 건강 및 경제적 이점

발표자

Hoang Le Tu
보기
123 체외 간 기계 관류에서의 수술 기법: 무작위 대조 시험의 메타 분석

발표자

Nguyen Huyen Trang
보기
124 코로나19 유행 시기 요양병원의 초과사망 분석: 시스템적 실패로 인한 건강불평등 심화

발표자

박지은
보기
125 노인의 추정 사구체 여과율 감소: 베트남 호치민시 지역사회 기반 연구

발표자

Minh Nguyen Thien
보기
126 학교 주변 500m 이내 담배소매점 밀도 감소 정책의 효과성 평가: 지역, 학교급 및 유형별 분석

발표자

김예현
보기
127 경기도 임대주택 주민의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연구

발표자

유지은
보기
128 건강노화의 개념과 구성 영역 탐색을 위한 델파이 연구

발표자

김은샘
보기
129 한국 젊은 의사들의 근무 선택에 관한 선호: 이산선택실험

발표자

이무혁
보기
130 한국에서 SARS-CoV-2 오미크론 BA.5 및 BN.1 변종이 우세한 상황에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 감염 및 2회 접종 후 소아의 체액성 면역 반응 및 감염 위험

발표자

Achangwa Chiara
보기
131 의료 종사자의 혈액 매개 감염에 대한 직업적 노출: 위험 요인 및 예방 규정을 준수하여

발표자

김도희
보기
132 오믹스 분석을 통한 환경보건취약지역 주민의 환경성질환 원인물질 추적기술개발 연구 사업단 소개

발표자

권정연
보기
133 연령 자살률과 코호트 자살률의 패널 분석 비교

발표자

김연경
보기
134 성인의 과불화합물, 중금속, 다환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한 노출과 혈중 지질 프로필 간의 연관성

발표자

김유림
보기
135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신속 응급 이송서비스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이송 및 치료 성과 개선

발표자

김은아
보기
136 청소년기 대사 염증 지표와 MASLD 지표 간의 연관성: 이화 영아성장 출생 코호트 기반

발표자

전승희
보기
137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와 건강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발표자

한다희
보기
138 우리나라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및 지역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적 연결 및 자본을 중심으로

발표자

김재민
보기
139 심혈관 건강과 우울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그리고 불안 증상 간의 종단적 연관성

발표자

안정현
보기
140 소지역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회생태학 모형 기반 지역사회 참여 중재사업의 효과: 준실험적 연구

발표자

윤태호
보기
141 장애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사망위험 간의 연관성

발표자

김유진
보기
142 1군 약물 사용에 따른 암 발생 위험: 전국 단위 인구 기반 후향적 코호트 연구

발표자

임우진
보기
143 Earable 디바이스를 활용한 신체활동 모니터링: 사용자 경험 분석 및 개선 방안 제언

발표자

박정미
보기
144 광역자치단체 보건의료 예산의 변화: 2023-2024 경기도 예산을 중심으로

발표자

서예은
보기
145 한국 성인의 혈청 과불화화합물농도와 내장지방 및 지방축적지수의 관련성

발표자

이은지
보기
146 복합 건강생활습관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 심혈관계, 암, 총 사망을 중심으로

발표자

양정민
보기
147 조기 출산 및 저체중 출생이 성인기 이전 시기의 인슐린 관련 대사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 영아성장 코호트 연구 결과

발표자

박현진
보기
148 청-장년층의 직업 유무와 정신건강(스트레스 및 우울) 지표 간 관련성 분석

발표자

김지원
보기
149 COVID-19 팬데믹 전후 노인 섬망환자의 응급실 방문 추이: 2017-2022년 응급의료정보망(NEDIS)을 활용한 분석

발표자

문정민
보기
150 2012-2020년 한국 간 수술 후 사망률 및 관련 요인

발표자

김선주
보기
151 소아청소년 암발생과 흡연과의 연관성 연구동향 분석 주제 범위 문헌 고찰

발표자

최은정
보기
152 장애인 대상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의 성과와 과제

발표자

정우민
보기
153 대구광역시 30-60대 성인의 고혈압 및 당뇨병 지표 분석: 지역사회건강조사 진단경험률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이용률 비교

발표자

이유미
보기
154 대구광역시 지역주민의 연령대별 고혈압 및 당뇨병 관련 지표 추이

발표자

김정환
보기
155 민간 치과의료보험과 치과의료이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발표자

서혜원
보기
156 신생아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배치에 대한 법적 기준 강화 후 신생아 결과

발표자

장윤서
보기
157 한국 성인에서 수면 장애와 기억력 저하 간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HINT-8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발표자

김민지
보기
158 극한 기온과 정신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사례-시계열 분석

발표자

장호열
보기
159 인지장애 노인들의 건강인식과 영양상태간의 연관성

발표자

김채윤
보기
160 자기공명영상에서 확인된 심방세동에 따른 뇌구조의 차이

발표자

양정호
보기
161 노인 인구에서 시공간기능 및 집행기능과 낙상두려움 간 연관성

발표자

손석윤
보기
162 코로나 19 전후 지역별 중증외상 환자 차이 분석

발표자

김청년
보기
163 환경 발암 물질과 산화 스트레스 바이오마커가 위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 KMCC 내 중첩 사례 대조 연구

발표자

이상준
보기
164 공중보건정책 효과 평가에서 공간정보의 활용: 주제범위 문헌고찰

발표자

이정진
보기
165 한국 거주 외국인의 의료 접근성 향상: 디지털 헬스의 잠재력

발표자

Movsesova Iuliia
보기
166 국내 수족구병 감시 체계 평가 연구

발표자

유석현
보기
167 청소년의 혈청 비타민 D와 내장지방 간의 연관성: 이화 영아성장 코호트를 기반으로

발표자

이혜림
보기
168 단일종합병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입원환자의 중등도분류에 따른 임상적특성

발표자

김연솔
보기
169 중소·요양병원 종사자 대상 손위생 중재 프로그램 효과

발표자

박건민
보기
170 경기도 환경취약지역 노출 및 건강 모니터링 - 경기도 환경보건기초조사 사후검진

발표자

이희진
보기
171 GHTN 병력이 있는 여성에서 장기간 열 노출과 심혈관 위험 사이의 연관성.

발표자

HOSSEINI MAHLA
보기
172 공공보건의료협력사례: 지역책임의료기관 임상실무 교육훈련 운영

발표자

전소현
보기
173 청소년의 구강증상 경험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발표자

안수빈
보기
174 누적 실업 기간이 당뇨 환자의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박희주
보기
175 비만요인에 따른 암 발생 및 사망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 트렌드 비교: 2015-2030

발표자

홍유진
보기
176 생활습관 요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고혈압 발생: 한국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활용한 전향적 분석

발표자

이정은
보기
177 경상남도내 지역도민의 간흡충증 감염과 관련된 교육, 문화, 지식평가에 대한 연구

발표자

김봉화
보기
178 우리나라 노인에서 지역박탈과 치과의료자원이 경제적 접근성 치과의료 미충족에 미치는 영향

발표자

임지연, 남해성
보기
179 Association between serum lipids and colorectal cancer risk in Korean Health Examine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발표자

민석홍
보기
180 응급의료 서비스 취약지역의 지역간 결정요인과 해결방안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발표자

윤혜원
보기
181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유무에 따른 소아중증환자 특성

발표자

노을희
보기
182 한국 청소년의 약물 남용 경험과 정신건강 문제의 연관성

발표자

오은석
보기
183 지역사회 기반 12주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육량, 신체기능,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변화

발표자

최영호
보기
184 집단 식중독 발생 중 조리종사자에서 발견된 식중독 병원체 분석에서 PFGE 방법의 유용성과 한계

발표자

황세민
보기
185 섭식장애 환자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디지털 중재 탐색

발표자

김지민
보기
186 경상북도 중증응급환자의 응급실 내원 현황 및 추이: 2017~2021년 NEDIS 원시자료 이용

발표자

강예지
보기
187 골 흡수 억제제 약물이 육종암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발표자

오서연
보기
188 초미세먼지 장기 노출에 따른 만성신장질환자의 MACE 발생위험 평가

발표자

이혜정
보기
189 흡연 상태와 심근경색 조기 증상 미인지의 연관성

발표자

여하정
보기
190 초미세먼지 노출과 0-5세 전체 원인 및 원인별 사망 연관성

발표자

하은희
보기
191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서의 외로움과 인지기능, 뇌 용적과의 상관관계

발표자

이현주
보기
192 지역금연지원센터에 등록한 여성 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의도 관련 요인

발표자

이덕원
보기
193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 KoGES 집단을 이용한 대규모 연구

발표자

김지훈
보기
194 한국인유전체역학사업 코호트를 이용한 신체유형에 따른 전체 사망률 및 특정원인 사망률 분석

발표자

신지애
보기
195 COVID-19 팬데믹에 따른 치매 노인 환자의 응급실 방문 추이 변화: 단절적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발표자

문정민
보기
196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한국 산업 현장에서 미치는 건강 영향

발표자

이지안
보기
197 한국농촌여성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신체활동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발표자

정은화
보기
198 콩 제품 섭취와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 연구

발표자

박준서
보기
199 노인 환자 돌봄제공자의 정신적· 신체적 부담감 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발표자

조미숙
보기
200 지방의료원 설립 및 강화를 위한 공공보건의료 관련 인식 조사: 울산 결과를 중심으로

발표자

정지윤
보기
201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지역 박탈에 따른 사망 불평등

발표자

문민희
보기
202 이른 소아에서 암 위험요인 노출과 청소년기 암 발생과의 연관성

발표자

이선화
보기
203 중금속 노출 위험 지역 주민의 요중 비소 종별 농도와 DNA Adduct 형성 간의 연관성 분석

발표자

정장훈
보기
204 임신 중 인스턴트 식품 섭취 습관과 출생결과(SGA, LGA)의 연관성

발표자

김봄
보기
205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연구 진행 현황 및 향후 계획

발표자

하은희
보기
206 한국 내 이민자 인구 집단의 감염병 현황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 통계와의 비교

발표자

오준서
보기
207 Network Approach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 on Stroke or Myocardial Infarction using Gaussian Graphical Model

발표자

Lailo Jaca Maison
보기
208 폐경기를 겪는 중년 한국 여성들의 인지된 스트레스 변화

발표자

장윤영
보기
209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부산시 사망원인별 표준화사망비 분석

발표자

김태훈
보기